(펌) 대잠 초계함이 잠수함의 공격을 받고도 모를 확률.

|

지난달 20일 러시아 일간지 브즈글랴드에 실린 러시아 해군 예비역 대령인 미하일 보른스키의 인터뷰 가운데. 중국의 신화통신이 이 인터뷰를 다시 인용해 "대잠 초계함인 천안함이 잠수함이 쏜 어뢰에 맞아 침몰했다면 한국 해군은 밥통(饭桶)"이라고 보도하기도 했죠.

-대잠 초계함의 주요 임무는 잠수함과의 전투다. 그런 초계함이 어떻게 잠수함에 의해 침몰될 수 있을까. 더 이상한 건 왜 어떤 승무원도 그 사실을 알지 못했을까.
"잠수함과의 전투 임무가 부여된 초계함이 잠수함에 의해 폭파되었다면 거기엔 해군이 아니라 허수아비만 있었다고 말할 수 있다. 초계함은 잠수함의 침입을 허락하지 않는다. 만약 어뢰가 발견된다면 발사지점에서 발견돼야 했다. 초계함은 어뢰를 피하거나 잠수함을 반격했어야 했다. 그래서 이번 사건은 도저히 이해할 수가 없다."

- 잠수함이 대잠 초계함에 비밀리에 다가가 비밀리에 공격을 가하고 도망간다는 게 가능한가.
"물론 아니다. 초계함에는 온갖 감시장비와 수중 음파 탐지기, 무선기술 장비가 설치돼 있다. 그 장비들은 자신 주변의 모든 것을 감시한다."

- 만약 어뢰에 의해 공격받았다면 그에 대응할 수 있을까. 사고에 대해 보고할 수 있었을까.
"사실 그들은 반드시 보고했어야 했다. '공격받음. 무언가 감지됨.' 이를 위해서는 단지 몇 초면 충분하다. 시간은 충분했다. 그런데 천안함은 사고 직후 무슨 일이 벌어졌는지도 몰랐다고 한다."

- 이론적으로 한국 해군들이 단순히 잠수함과 발사된 어뢰를 인지하지 못했다고 가정할 수 있나.
"가능하다. 그러나 사건 경위에 대해 판단할 수 있는 자료가 부족하다. 지금 어떤 결론을 내는 것은 단지 커피찌꺼기로 점치는 것과 같다. 이번 사고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한국 해군들이 전문적이지 못하다는 것, 둘째, 그런 공격은 신뢰성이 떨어진다는 것, 셋째, 전체적인 이해를 위한 정보가 충분하지 못하다는 것.

- 당신의 견해로 한국측의 주장이 어느정도 신뢰가 가는가.
"합조단의 주장은 믿기 힘들다. 나는 한국 해군들이 전문적이지 못하다고 생각한다. 북한의 어떤 물체가 그들을 공격했다는 것을 믿지 않는다. 이것은 구체화되고 증명되어야 한다."



합조단 발표 왜 믿지 못하나.
"이제는 절대 없다"는 말만 세 차례... 명예훼손 고발 남발.

민군 합동조사단의 발표가 믿음을 얻지 못하는 건 계속된 말 바꾸기와 임기응변식 해명 때문이다.

군은 사고 직후 사고 발생 시각을 9시45분에서 30분으로 수정했다가 다시 25분으로 앞당겼고 22분으로 다시 고쳤다. 이 과정에서 군은 "해군 작전사령부가 합동참모본부에 보고한 시점이지 침몰 시점은 아니었다"면서 "보고 시점을 상황 발생 시각으로 착각했다"고 해명했다. 15분에 최초 보고가 있었다는 MBC 보도와 관련해서는 "방공진지에서 청취한 폭음을 잘못 보고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열상감시장비(TOD) 동영상과 관련한 설명도 계속 엇갈렸다. 없다던 동영상이 계속 추가로 나왔고 군은 계속 말을 바꿨다. 군은 사고 직후인 30일 오후 1분20초 분량의 동영상을 공개한데 이어 4월1일 40분 분량의 영상을 공개했다. 군은 "순식간에 가라앉아 함미 부분이 찍힌 동영상이 없다"고 밝혔지만 7일에는 "폭발 2분 22초 후에 함수와 함미가 분리된 1분 1초 동안의 장면이 있다"고 번복했다.

군은 "장비를 점검하던 중 추가로 발견했으며 이제는 정말 없다"고 공언했다. 그러나 지난달 28일 3시간10분 분량의 4번째 동영상이 추가로 공개됐다. 이 동영상에는 폭발 36초 뒤의 장면이 담겨 있었다. 문병욱 합조단 대변인은 "TOD 초소에서도 해당 영상을 그냥 지나쳤다가 10배율로 정밀 탐색하던 중 발견했다"고 설명했다. "이제는 절대 없다"는 말을 세 차례나 한 셈인데 여전히 침몰 당시의 영상은 공개되지 않은 상태다.

이밖에도 4월7일 기자회견에서 생존자들은 물기둥을 보지 못했다고 증언했는데 지난달 20일 조사 결과 발표 때는 물기둥을 봤다는 초병이 나타났다거나 수백m의 물기둥이 발생했는데 뺨에 물이 튀는 정도에 그쳤다거나 녹화 버튼을 눌러야 한다던 TOD 장비가 사실은 자동 녹화된다는 사실이 뒤늦게 밝혀지는 등 군은 스스로 신뢰를 떨어뜨려왔다. TOD 동영상에 기재된 시각이 실제 시각보다 늦다는 해명도 쉽게 납득하기 어려운 대목이었다.

최근에는 대잠수함 훈련 여부가 논쟁이 됐다. AP통신은 6일 미국 국방부 관계자의 말을 인용해 "천안함 침몰 사건 당시 한미 합동 대잠수함 훈련이 진행 중이었다"면서 "3월25일 오후 10시부터 그 다음날 오후 9시까지 실시된 이 훈련은 천안함 침몰 사건으로 중단됐다"고 보도했다. 정부는 이 보도 직후 "대잠수함 훈련은 하지 않았다"고 밝혔으나 7일에는 "대잠수함 훈련이 있었으나 천안함 침몰 시간 이전에 종료됐다"고 말을 바꿨다.

전술지휘체계(KNTDS)의 항적 기록과 관련해서도 그동안 박영선 민주당 의원이 "해군이 발표한 좌표와 KNTDS 좌표가 차이가 난다"는 사실을 거듭 지적했는데 군은 8일에서야 "KNTDS상 천안함이 없어진 지점은 장비 특성에 의해 표시되는 가상위치"라고 해명했다. 군은 "위치 송신이 중단돼도 송신이 중단된 당시의 침로 속력으로 약 3분간 KNTDS상에 전시된 이후 완전히 화면에서 사라진다"고 말을 바꿨다.

무엇보다도 군은 계속 되는 의혹 제기를 사실 무근으로 평가절하하거나 고소‧고발을 남발하면서 여론을 압박해 왔다. 항적 자료와 음파 탐지기 기록 등 기초적인 정보을 공개하라는 요구가 거셌지만 군사기밀이라는 이유로 거부해 왔다. 정부는 결국 대북 강경제재를 선언하고 국제연합(UN) 안전보장이사회에 이를 회부한 상태다. 진실 공방은 이제 국제 사회로 옮겨갔다.


출처 : http://www.leejeonghwan.com/media/mt-tb.cgi/1788

And